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7

마태복음 16장 중요한 주제와 묵상

메시아의 정체와 제자의 길, 신앙 고백 위에 세워진 교회마태복음 16장은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정체성을 드러내시고, 그 고백 위에 교회를 세우겠다고 선언하신 중요한 장입니다. 표적을 구하는 세대에 대한 책망과, 베드로의 신앙 고백, 그리고 십자가의 길을 따르라는 제자도의 요청이 한 흐름 안에서 전개됩니다. 이 장은 신앙의 본질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고백 위에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구속사적 관점에서 분명히 보여주는 말씀입니다.표적을 구하는 세대와 하늘의 표적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이 예수님께 나아와 하늘로부터 오는 표적을 보이기를 요청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적을 보려는 호기심이 아니라, 예수님을 시험하고 그 권위를 부정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도전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요구를 거절하시며 말씀하.. 기독교정보 2025. 4. 6.

마태복음 15장 중요한 주제와 묵상

사람의 전통과 하나님의 계명, 참된 정결함의 길마태복음 15장은 인간의 전통과 하나님의 계명의 충돌, 그리고 참된 정결이 무엇인지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의 외형적 경건과 대비되어, 예수님은 마음에서 우러나는 진정한 신앙과 믿음을 강조하십니다. 이 장은 또한 유대 경계 밖에 있는 이방 여인과의 만남, 그리고 병자들의 고침과 많은 무리의 배불림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이 이스라엘을 넘어 열방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통과 율법, 정결과 불결, 믿음과 불신이라는 신학적 주제를 통해 복음의 본질을 조명합니다. 전통을 넘어 계명으로: 입술이 아닌 마음의 신앙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나아와 묻습니다. “당신의 제자들이 장로들의 전통을 범하나이다 손을 .. 성경강해 2025. 4. 6.

마태복음 14장 중요한 주제와 묵상

고난과 기적 사이에서 드러나는 구속자의 얼굴마태복음 14장은 세례 요한의 순교와 오병이어 기적, 풍랑 위를 걸으시는 예수님, 병자를 고치시는 사역이 담겨 있습니다. 이 모든 장면은 예수님의 고난과 권능, 그리고 제자들과 우리를 향한 구속적 사랑을 드러내며, 고난주간의 십자가 사건을 예비하는 예수님의 모습을 선명하게 보여줍니다. 세례 요한의 순교, 고난을 향한 구속사의 예고편헤롯이 자신의 생일잔치에서 세례 요한을 죽이게 되는 사건은 구속사의 첫 장면을 고난의 분위기로 열어 줍니다. 세례 요한은 회개를 외쳤고, 진리를 선포하다가 권력자에게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는 메시아로 오신 예수님 역시 진리를 전파하다가 배척당하고 죽임당하실 것을 예고합니다.세례 요한의 순교는 십자가를 향한 예수님의 길과 평행을 이루며,.. 성경강해 2025. 4. 5.

마태복음 13장 중요한 주제와 묵상

비유로 드러난 하나님 나라와 구속의 신비마태복음 13장은 예수님께서 일곱 가지 비유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본질과 구속사의 신비를 가르치시는 장입니다. 씨 뿌리는 자, 가라지, 겨자씨, 누룩, 감추인 보화, 진주, 그물 비유는 모두 하나님 나라가 감춰진 듯하지만 점진적으로 확장되고, 마지막에 가서 참과 거짓이 드러나는 구속의 과정을 설명합니다.씨 뿌리는 자의 비유, 구속의 씨앗이 뿌려지는 과정예수님은 바닷가 무리들에게 씨 뿌리는 자의 비유로 말씀을 시작하십니다. 씨는 하나님의 말씀이고, 밭은 사람의 마음입니다. 어떤 씨는 길가에, 돌밭에, 가시떨기에, 그리고 좋은 땅에 떨어져 각각 다른 결과를 맺습니다. 이는 복음이 모든 사람에게 뿌려지지만, 그 마음밭에 따라 구속의 열매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예.. 성경강해 2025. 4. 5.

마태복음 12장 중요한 주제와 묵상

율법의 외형을 넘어 십자가의 긍휼로마태복음 12장은 안식일 논쟁과 귀신 추방 사건, 그리고 회개하지 않는 세대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율법의 형식을 붙든 자들과 하나님의 긍휼을 나타내신 예수님의 충돌은 구속사의 핵심인 십자가의 의미를 분명히 드러냅니다.안식일 논쟁과 예수님의 주권예수님은 안식일에 밀 이삭을 잘라먹는 제자들을 옹호하시며, 다윗과 제사장의 사례를 들어 율법의 본질은 긍휼임을 말씀하십니다(12:1-8). 예수님은 "나는 안식일의 주인이라"고 선포하심으로, 율법을 넘어서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밝히십니다. 이어 회당에서 손 마른 사람을 고치시며, 선을 행하는 것이 안식일에 합당함을 보여주십니다.이 논쟁은 고난주간에 예수님이 받은 비난과 죽음의 이유를 미리 보여줍니다. 형.. 성경강해 2025.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