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쓰기5

서평 잘 쓰는 법

서평이란 무엇인가? 서평은 다양한 의미로 풀어낼 수 있지만 간략하게 정의하면 '읽은 책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는 극히 미미하지만 분명한 차이는 존재합니다. 독후감은 책을 읽고 난 느낌을 강조한 반면 서평은 책의 내용과 더불어 표지, 문체 등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비평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입니다. 독후감 : 책을 읽고 난 자신만의 생각을 적는 것 서평 : 책을 비평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독후감과 서평이 엄격하게 구분되지는 않습니다. 2000년 전까지만 해도 서평은 한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람들이 하는 전문영역에 속했지만 요즘은 굳이 전문가가 아니어도 어느 정도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할 수 있는 것으로 변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전문가들에 의한 평가는.. 글쓰기 2023. 2. 12.

일기 잘 쓰는 법

일기란 무엇인가? 일기 잘 쓰는 법을 말하기 전에 먼저 '일기'가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일기를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날마다 겪은 일이나 생각을 적는 개인적인 기록'입니다. 네이버 사전에서 찾아보니 이렇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일기(日記)의 사전적 정의 1.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개인의 기록. 2.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장부. 3. [역사] 폐위된 임금의 치세를 적은 역사. 폐주이므로 실록에 끼이지 못하고 달리 취급되었다. [유의어] 다이어리, 수기, 일기장 일기는 그냥 자신의 생각을 하루하루 적는 것을 말합니다. 깊은 의미를 담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오늘 글은 단순히 일기를 정의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일기를 '잘' 쓰는 법이니, 보통의 .. 글쓰기 2023. 2. 11.

책을 읽는 이유와 의미

책을 좋아합니다. 왜 좋아하는지 저도 잘 모르니다. 그냥 좋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 보면 몇 가지는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먼저는 지식을 얻습니다. 이상하게 저는 늘 어릴 때부터 뭔가를 배우고 싶다는 열망이 깊었습니다. 그래서 항상 책을 읽는 습관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저희 부모님은 책을 좋아하지 않았고 집에 책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저의 유년 시절은 독서의 양이 현저히 적습니다. 당시만 해도 책을 산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어쩌면 제 스스로 나는 배우지 못했으니 책이라도 열심히 읽자는 생각이 들어 나이가 들어 책을 읽기 시작한 것 같기도 합니다. 책을 읽으면 정말 많은 정보와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잡식성 습관이 책을 읽는 도움이 된 것.. 일상의발견 2023. 2. 9.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1000가지

[서평] 나이가 들면 들수록 모르는 단어가 많다는 생각을 합니다.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는 것은 새로운 단어를 찾는 습관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상적인 단어보다 더 좋은 표현을 찾으려는 노력 때문이기도 합니다. 평범한 단어보다 좀 더 멋진 단어를 구사하고 싶은 생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진작 더 중요한 것은 정말 내가 자주 사용하지만 정확한 뜻을 몰라 의미를 확장시키지 못할 때가 많다는 것입니다. 글쓰기를 하다 보면 이런 일이 종 일어납니다. 그래서 구입하게 된 책이 입니다. 우리가 잘 모르고 사용하는 많은 단어가 있지만 이 책은 그중에서 1000개를 선별해 정리했습니다. 몇 개를 골라 잠깐 설명해 보겠습니다. 가마니 가마니는 시골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하는 우리말입니다. 저는 이 말이 우리나라 고유어인줄 알았습.. 북리뷰 2023. 2. 9.

[블로그 글쓰기] 글감 찾기

블로그 글감 찾기 오늘은 블로그 글감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뭐.. 오늘도 아네요. 오늘만 벌써 세 번째 글을 쓰고 있으니 생각나는 김에 쭉 써 보려고요. 매일 들어오는 블로그가 아니라서. 하여튼 [블로그+글쓰기]에 관한 이야기니 몇 가지를 알고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글감'입니다. 블로그를 시작할 때는 주제부터 논하지만 저는 주제는 말하고 싶지 않네요. 이 블로그 자체가 오만 이야기를 다 적을 잡 블로그라서. 하여튼 블로그 글감 이야기로 가봅시다. 글감이란 글을 쓰기 위한 소재 또는 주제입니다. 글을 한 번도 써보지 않은 사람과 글을 하도 많이 써서 개구리 올챙이 적 기억 못 하는 사람들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냥 쓰면 될 일을 뭘 또 고민을 하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글쓰기 2022. 11. 9.